안녕하세요 저는 최근에 한전 자소서를 쓰느라 한전이 현재 하고 있는 사업들에 대해 조사를 좀 해보았습니다. 그러다 새로운 것에 대해 배웠는데 그것에 대해 공유해보고자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한전의 주요사업으로 AMI란 것이 있는데 AMI의 뜻은 무엇이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AMI 뜻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란 '지능형 원격 검침 장치' 혹은 '지능형 검침 인프라' 혹은 '스마트 전력 계량기' 혹은 '스마트 계량기'라고 불린다. 한국어로는 정확한 이름이 붙지 않아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어쨋든 AMI란 계량기인데 양방향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계량기이다.
AMI를 이용해 소비자는 전기사용량과 시간대별 요금정보를 알 수 있다.
그러면 요금이 싼 시간대엔 전기를 많이쓰고 비싼 시간대엔 적게쓰는 방식으로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다.
전력회사측에선 AMI를 통해 얻은 정보로 적절한 수요관리, 전력설비 감시 등을 할 수 있다.
문제점
1. 보급지연
원래 한전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에 2250만호에 AMI를 도입하고 이를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요금제를 개편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2020년 10월을 기준 2250만호 대비 43.3%만이 도입되어 저조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보급이 지연되는 것일까.
보급지연 이유
1. 통신 시험장비와 KS표준 인증시험절차 오류로 인한 지연
2. 통신(PLC) 특허소송에 의한 지연
3. 자재 납품업체의 경영악화에 따른 계약해지, 납기지연
4. 보안관련 기술개발 및 인증 지연
2. 잦은 고장으로 인한 리콜
AMI가 처음 도입된 이후 2020년 1월까지 약 122만여대가 리콜 조치되었다. 한전은 679억원을 들여 이들 AMI를 구매했고 설치하는데 138억원을 투입했으며 업체가 리콜을 위해 쓴 비용은 127억원이다.
리콜사유
1. 전압전류 데이터 전송 오류
2. 검침시간 전송 오류
3. 비정상 계량
4. 계절 변경 시 전력사용량 및 최대수요전력 오검침 등 펌웨어 결함
5. 펌웨어 변조 부동작 발생
6. 펌웨어 버전 착오입력으로 역방향 계량 시 LCD창 소수점 사라지는 현상
자~ 여기까지 한전의 주요사업인 AMI의 뜻과 문제점인 보급지연과 잦은 고장으로 인한 리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금껏 계획한대로 보급이 안되고 있지만 앞으로 보급이 활성화되어 전기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럼 저는 이만 물러나보겠습니다~
'취준 > 공기업 전기직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그리드란? 스마트그리드의 장점, 필요한 기술 (0) | 2021.05.11 |
---|---|
공부정리)한전 핵심사업 HVDC란?(feat.공유인) (0) | 2021.04.21 |
공기업 전기직 알쓸신잡) RE100이란? 한국형 RE100 (0) | 2021.03.17 |
공기업 전기직 알쓸신잡) 한전 전기요금(연료비 연동제란?) (0) | 2021.03.16 |